앙리 르페브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리 르페브르는 1901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이며, 20세기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지식인 중 한 명이다. 파리 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초현실주의 및 다다이즘 운동가들과 교류하며 프랑스 공산당에 가입하여 레지스탕스 활동에도 참여했다. 그는 일상생활 비판, 공간의 사회적 생산, 도시에 대한 권리 등 다양한 개념을 제시하며 도시, 도시 계획, 공간에 관한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58년 공산당에서 제명된 후,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와 파리 10 낭테르 대학교에서 사회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1991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반소비주의자 - 프레드릭 제임슨
프레드릭 제임슨은 미국의 마르크스주의 문학 평론가이자 문화 이론가로, 포스트모더니즘과 후기 자본주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정치적 무의식』, 『포스트모더니즘, 또는 후기 자본주의의 문화적 논리』 등의 저서를 통해 문학, 문화, 역사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을 제시했다. - 반소비주의자 - 허먼 데일리
허먼 데일리는 정상 상태 경제 이론의 선구자이자 지속 가능한 경제 후생 지수(ISEW) 개발에 기여한 경제학자로서,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며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 랑드주 출신 - 빈첸시오 드 폴
빈첸시오 드 폴은 프랑스의 가톨릭 사제이자 자선가로서, 가난한 이들을 위한 헌신적인 봉사로 '자선 사업의 아버지'로 불리며, 라자르회와 성 빈첸시오 아 바오로의 자비 수녀회를 창립하여 사회복지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고, 사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랑드주 출신 - 알랭 뒤카스
프랑스 요리사 알랭 뒤카스는 1980년부터 셰프로 활동하며 세계 각지에 고급 레스토랑을 개점, 미슐랭 스타를 다수 획득하고 요리 학교 운영 및 저술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업가이다. - 프랑스 공산당원 - 파블로 피카소
파블로 피카소는 스페인 태생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입체파 화가이자 조각가로서 조르주 브라크와 함께 입체주의 미술 양식을 창시했으며 《아비뇽의 처녀들》, 《게르니카》 등의 대표작과 함께 회화, 조각, 판화, 도자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방대한 작품을 남긴 20세기 최고의 예술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프랑스 공산당원 - 앙드레 샤사뉴
프랑스 정치인 앙드레 샤사뉴는 클레르몽페랑 출신으로 생타망로슈사뱅 중학교 교장, 부시장, 시장을 거쳐 2002년부터 2017년까지 프랑스 공산당 소속으로 퓌드돔 제4선거구 국민의회 의원을 4선 역임하며, 2012년에는 민주공화좌파 그룹 의장을 역임하고 '카피탈' 잡지가 선정한 국민의회 최고 의원으로 선정될 정도로 높은 의정 활동 평가를 받았다.
앙리 르페브르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앙리 르페브르 |
출생일 | 1901년 6월 16일 |
출생지 | 프랑스, 아제모 |
사망일 | 1991년 6월 29일 |
사망지 | 프랑스, 나바랭스 |
학력 | 파리 대학교 (석사, 1920년; 박사, 1954년) |
영향 | 카를 마르크스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찰스 다윈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엥겔스 블라디미르 레닌 이오시프 스탈린 마오쩌둥 마르틴 하이데거 가스통 바슐라르 롤랑 바르트 프랑수아 라블레 장자크 루소 볼테르 데이비드 흄 에드워드 기번 헤라클레이토스 코스타스 악셀로스 모리스 메를로퐁티 |
영향을 받은 인물 | 기 드보르 장 보드리야르 미셸 드 세르토 데이비드 하비 라울 바네겜 에드워드 소자 프레드릭 제임슨 상황주의 인터내셔널 마크 포스터 닐 스미스 장폴 사르트르 |
학문 분야 | |
지역 | 서양 철학 |
시대 | 20세기 철학 |
사상 | 대륙 철학 서구 마르크스주의 헤겔주의 마르크스주의 |
주요 관심사 | 일상 생활 변증법 소외 신비화 사회적 공간 도시성 농촌성 근대성 문학 역사 |
주요 사상 | 일상 생활 비판 순간 이론 리듬분석 도시권 사회적 공간 생산 |
지도 학생 | 장 보드리야르 |
직장 |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파리 낭테르 대학교 파리 도시 계획 연구소 |
2. 생애
wikitext
앙리 르페브르는 1901년 프랑스 랑드주 아제토에서 태어났다.[5] 파리 대학교(소르본 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여 1920년에 졸업하였다. 1924년, 르페브르는 폴 니잔, 노르베르트 구터만, 조르주 프리드만, 조르주 폴리체르, 피에르 모랑주와 함께 "철학적 혁명"을 추구하는 《철학》 그룹에서 활동했다.[5] 이들은 초현실주의, 다다이즘 운동가들과 교류하며, 이후 프랑스 공산당(PCF)에 합류하게 된다.
르페브르는 1928년 프랑스 공산당에 가입하여[6] 20세기 2분기 동안 가장 저명한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지식인 중 한 명이 되었으며, 이후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참여했다.[6] 그는 프랑스 남부 피레네 지역(특히 바스크)에서 성장했는데[30], 이 지역은 가톨릭의 영향력이 강한 곳이었다. 르페브르는 『총합과 잉여』에서 자신이 마르크스주의자가 된 원인 중 하나로 종교에 대한 반발을 언급하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의 혼란과 늑막염으로 인해 진학을 포기한 르페브르는 엑상프로방스 대학교에 진학하였다. 1930년부터 리세(고등학교) 철학 교사로 재직했으나, 1940년 나치 독일의 프랑스 점령과 함께 비시 정권에 의해 해임되었다. 이는 그가 나치 독일을 비판하는 저술을 발표하고 공산당원이었기 때문이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01-1927)
앙리 르페브르는 1901년 프랑스 랑드주 아제토에서 태어났다.[5] 르페브르는 파리 대학교(소르본 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여 1920년에 졸업하였다. 1924년, 르페브르는 폴 니잔, 노르베르트 구터만, 조르주 프리드만, 조르주 폴리체르, 피에르 모랑주와 함께 "철학적 혁명"을 추구하는 《철학》 그룹에서 활동했다.[5] 이들은 초현실주의, 다다이즘 운동가들과 교류하며, 이후 프랑스 공산당(PCF)에 합류하게 된다.르페브르는 1928년 프랑스 공산당에 가입하여[6] 20세기 2분기 동안 가장 저명한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지식인 중 한 명이 되었으며, 이후 프랑스 레지스탕스에 참여했다.[6] 그는 프랑스 남부 피레네 지역(특히 바스크)에서 성장했는데[30], 이 지역은 가톨릭의 영향력이 강한 곳이었다. 르페브르는 『총합과 잉여』에서 자신이 마르크스주의자가 된 원인 중 하나로 종교에 대한 반발을 언급하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의 혼란과 늑막염으로 인해 진학을 포기한 르페브르는 엑상프로방스 대학교에 진학하였다. 1930년부터 리세(고등학교) 철학 교사로 재직했으나, 1940년 나치 독일의 프랑스 점령과 함께 비시 정권에 의해 해임되었다. 이는 그가 나치 독일을 비판하는 저술을 발표하고 공산당원이었기 때문이다.
2. 2. 철학 그룹 활동과 공산당 입당 (1928-1939)
앙리 르페브르는 1920년 파리대학교(소르본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하고 졸업했다. 1924년에는 폴 니잔, 노르베르트 구터만, 조르주 프리드만, 조르주 폴리체르, 피에르 모랑주와 함께 "철학적 혁명"을 추구하는 《철학》(Philosophies) 그룹에서 활동했다.[5] 이들은 초현실주의 및 다다이즘 운동가들과 교류하며 프랑스 공산당(PCF)으로 이념적 방향을 잡았다.1928년, 르페브르는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하여 이후 30년간 프랑스 레지스탕스 활동을 포함, 20세기 2분기 동안 가장 저명한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지식인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6] 1930년부터 리세(고등학교)의 철학 교사로 재직했으나, 1940년 나치 독일의 프랑스 점령에 따라 나치 독일을 비판하는 그의 저술들이 "오토 리스트"(금서 목록)에 등재되고, 공산당원이었던 것이 문제가 되어 비시 정권에 의해 공직(교직 포함)에서 해임되었다.
1944년부터 1949년까지는 툴루즈의 프랑스 라디오 방송국인 《프랑스 라디오 방송》(Radiodiffusion Française)의 책임자였다.[7] 그의 주요 저작 중 하나인 반(反)스탈린주의적 변증법에 관한 《변증법적 유물론》(Dialectical Materialism)은 1940년에 출판되었다.[7]
2. 3. 레지스탕스 활동과 전후 활동 (1940-1957)
앙리 르페브르는 1928년에 프랑스 공산당에 가입하여 20세기 2분기 동안 가장 저명한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지식인 중 한 명이 되었으며, 이후 프랑스 레지스탕스(French resistance)에 참여했다.[6] 1944년부터 1949년까지 그는 툴루즈(Toulouse)의 프랑스 라디오 방송국인 《프랑스 라디오 방송》(Radiodiffusion Française)의 책임자였다.[6]1940년 나치 독일의 프랑스 점령에 따라, 르페브르는 나치 독일을 비판하는 저술과 공산당원이라는 이유로 비시 정권에 의해 공직에서 해임되었다. 1947년 툴루즈의 리세에서 교직에 복귀하고, 이듬해인 1948년 프랑스 국립 과학 연구 센터(CNRS) 연구원이 되었다. 1950년대에 르페브르는 스탈린주의 비판을 포함하여 정통 마르크스주의와 거리를 두는 입장을 보였고, 1958년 프랑스 공산당에서 제명되었다.
그의 작품 중에는 반스탈린주의적 변증법에 관한 매우 영향력 있는 저서인 《변증법적 유물론》(Dialectical Materialism, 1940)이 있다. 7년 후, 르페브르는 그의 첫 번째 《일상생활의 비판》(The Critique of Everyday Life)을 출판했다.[7] 그의 초기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칭찬을 받았고 장-폴 사르트르(Jean-Paul Sartre)의 《변증법적 이성 비판》(Critique of Dialectical Reason, 1960)에서 중심적으로 차용되었다.[7] 르페브르가 프랑스 공산당에서 30년 동안 활동하는 동안 그는 특히 사르트르와 르페브르의 전 동료인 니잔과 같은 실존주의자들을 비판하는 글을 발표하도록 선택되었고,[8] 1950년대 후반 자신의 이단적인 이론적, 정치적 견해로 인해 의도적으로 당에서 제명되었다. 그는 프랑스 공산당의 주요 지식인으로 활동하다가 프랑스 공산당의 정치(예: 알제리 문제에 대한 견해 부족, 더 일반적으로 스탈린주의에 대한 부분적 변명과 지속)와 지적 사상(즉, 구조주의(structuralism), 특히 루이 알튀세르(Louis Althusser)의 작품)에 대한 가장 중요한 비평가 중 한 명이 되었다.[9]
2. 4. 공산당 제명과 학문적 활동 (1958-1991)
앙리 르페브르는 1928년 프랑스 공산당(PCF)에 가입하여 20세기 2분기 동안 가장 저명한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지식인 중 한 명이 되었으며, 프랑스 레지스탕스(French resistance)에도 참여했다.[6] 1944년부터 1949년까지 그는 툴루즈(Toulouse)의 프랑스 라디오 방송국인 《프랑스 라디오 방송》(Radiodiffusion Française)의 책임자였다.[6] 그의 작품 중에는 반스탈린주의적 변증법에 관한 매우 영향력 있는 저서인 《변증법적 유물론》(Dialectical Materialism, 1940)이 있다. 7년 후, 르페브르는 그의 첫 번째 《일상생활의 비판》(The Critique of Everyday Life)을 출판했다.[7]르페브르는 프랑스 공산당에서 30년 동안 활동하는 동안, 특히 장-폴 사르트르와 르페브르의 전 동료인 폴 니잔과 같은 실존주의자들을 비판하는 글을 발표했다.[8] 1950년대 후반, 자신의 이단적인 이론적, 정치적 견해로 인해 프랑스 공산당에서 제명되었다. 그는 프랑스 공산당의 주요 지식인으로 활동하다가 프랑스 공산당의 정치와 지적 사상에 대한 가장 중요한 비평가 중 한 명이 되었다.[9]
1950년대, 정통 마르크스주의와 일선을 긋는 자세는 특히 스탈린주의 비판이라는 형태로 표면화되었으며, 이것이 계기가 되어 1958년 프랑스 공산당에서 제명되었다.
1961년, 르페브르는 스트라스부르 대학교(University of Strasbourg)에서 사회학 교수가 된 후 1965년 파리 10 낭테르 대학교(University of Paris X: Nanterre)의 교수진에 합류했다.[10] 그는 1968년 5월 프랑스 사건(May 1968 events in France) 학생 운동에 영향을 미치고 분석했다.[11] 1962년 스트라스부르 대학교, 그 후 파리-낭테르 대학교 사회학 교수가 되었고, 최종적으로 파리 도시 계획 연구소 교수직에 취임했다.
르페브르는 1968년 저서 《도시에 대한 권리》(Le Droit à la ville)에서 도시에 대한 권리(right to the city) 개념을 소개했다.[12][13] 이 책 출판 후 르페브르는 도시, 도시 계획 및 공간에 관한 여러 영향력 있는 저서를 저술했으며, 그중에는 도시 이론(urban theory)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많이 인용되는 작품 중 하나가 된 《공간의 생산》(The Production of Space, 1974)이 있다.
1970년대까지 르페브르는 특히 미셸 푸코(Michel Foucault)를 비롯한 포스트구조주의자(post-structuralists)들의 작품에 대한 최초의 비판적 논평 중 일부를 출판했다.[14] 그 후 몇 년 동안 그는 프랑스 대중이 중앙 유럽 수정주의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데 크게 기여한 신좌파(New Left) 잡지인 《아르규망》(Arguments) 편집 그룹에 참여했다.[15]
르페브르는 1991년에 사망했다. 《급진 철학》(Radical Philosophy) 잡지는 그의 부고에서 "가장 다작인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지식인 중 한 명인 그는 90세 생일이 지난 지 2주도 채 되지 않은 1991년 6월 28일에서 29일 사이에 밤에 사망했다. 그의 긴 경력 동안 그의 작품은 여러 차례 유행을 타기도 하고 사라지기도 했으며, 철학뿐 아니라 사회학, 지리학, 정치학, 문학 비평의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다."라고 평가했다[16]
3. 주요 사상
3. 1. 일상생활 비판
앙리 르페브르는 1930년대에 "일상생활 비판"이라는 개념을 개척했는데, 이는 그의 사회 사상에 대한 가장 중요한 공헌 중 하나이다.[17] 르페브르는 일상생활을 변증법적으로 "환상과 진실, 권력과 무력함의 교차점; 인간이 통제하는 부문과 통제하지 않는 부문의 교차점"[17]으로 정의했으며, 신체의 다원적 리듬 다발, 생리적(자연적) 리듬, 그리고 사회적 리듬 사이에서 끊임없이 변혁적인 갈등이 발생하는 곳이라고 보았다.[18]그는 일상생활이 기술과 생산에 비해 저개발된 부문이며, 20세기 중반 자본주의는 일상생활을 식민지화하도록 변화했다고 주장했다. 르페브르는 자본주의가 생존하고 스스로를 재생산하는 곳이 바로 일상생활이기 때문에, 일상생활을 혁신하지 않으면 자본주의는 일상생활의 질을 계속 저하시키고 진정한 자기 표현을 저해할 것이라고 보았다.[20] 그는 인간이 구체적인 유토피아적 존재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은 추상적인 생산력 통제가 아니라 인간 삶의 조건을 발전시키는 것을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보았기 때문에 일상생활 비판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20]
르페브르는 일상성(quotidienneté)이 자본주의 하에서 지배계급에 의해 집단 생활에 강요된 특징과 성격을 재생산하는 역할에서 해방될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는 습관(habitude)은 비역사적이기 때문에 진정성 없는 시간성을 가지며, 지배 관계를 재생산하고 영속시키는 것 이외에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르페브르는 몽상(fantaisie)과 창의력(inventivité)이 고유한 자율적 표현으로 나아가는 길을 찾는 것을 방해하는 장벽이 일상성 속에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르페브르는 예술에 특권을 부여했는데, 이는 예술의 자율성 이상으로 일상 생활 방식의 관습적인 비합리적인 특징을 증명할 수 있는 미적 경험의 수단으로 이해했기 때문이다. 그는 근대 예술이 일상성의 폐지 조건을 제기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이론들은 르페브르가 젊었을 때 참여했던 초현실주의(シュルレアリスム) 운동의 경험과 통찰과 관련이 있다.
르페브르의 일상생활에 관한 연구는 시추아시오니스트 인터내셔널(シチュアシオニスト・インターナショナル)을 비롯한 프랑스 이론과 정치(예: 1968년 5월 학생운동)[21]에 큰 영향을 미쳤다.[20] 또한 그의 연구는 오늘날 디지털 기술과 정보에 대해 저술하는 학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22] 그의 사상은 지배 관계의 재생산에 관해서는 피에르 부르디외(ピエール・ブルデュー)의, 예술에 의한 해방에 관해서는 베르나르 스티글레르(ベルナール・スティグレール)의 사상에서도 유사한 점을 찾아볼 수 있다.
르페브르는 『일상생활 비판』(Critique de la vie quotidienne) 3부작(1947년, 1961년, 1981년)을 통해 이러한 사상을 매우 심화된 방식으로 제시했다.
3. 2. 공간의 사회적 생산
르페브르는 자신의 철학적 저술의 상당 부분을 사회적 생산 관계의 재생산에서 (공간의 생산) 중요성을 이해하는 데 할애했다. 이 아이디어는 La Production de l'espace프랑스어 (1974) (''공간의 생산'')의 서문으로 쓰여진 책 ''자본주의의 생존''의 중심 주장이다.[23]르페브르는 자연 공간('절대 공간')에서 의미가 사회적으로 생성되는 더 복잡한 공간과 흐름까지 공간화(spatialization) 방식이 다르다고 주장한다.[23] 그는 각 역사적 방식을 일상적인 실천과 인식(le perçu프랑스어), 공간에 대한 표상 또는 이론(le conçu프랑스어), 그리고 당시의 공간적 상상계(le vécu프랑스어) 사이의 3부작 변증법으로 분석한다.[24]
''공간의 생산''에서 르페브르의 주장은 공간이 사회적 산물이거나 (가치와 의미의 사회적 생산에 기반한) 복잡한 사회적 구성물이며, 공간적 실천과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는 모든 사회, 그리고 따라서 모든 생산 방식은 특정 공간, 즉 자체 공간을 생산한다고 주장했다.
르페브르의 개념은 마누엘 카스텔스 등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 ''자본주의의 생존''에는 카스텔스에 대한 많은 반박이 제시되어 있으며, 앤디 메리필드[25] 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학계에서 이러한 비판을 받아들이는 것이 르페브르가 ''공간의 생산''을 집필하려는 노력의 동기가 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미할 무라프스키[26]는 사회주의 국가들이 차별적인 공간을 생산한 방식을 보여줌으로써 르페브르가 실제로 존재하는 사회주의를 기각한 것을 비판한다.
이어서, 도시계획(urbanisme)과 국토(territoire) 문제에 전념하며, 도시를 일상에 대한 미학적 반항의 중심으로 제시한다. 1970년 아나톨 콥(Anatole Kopp)과 함께 「공간과 사회」(Espaces et sociétés)라는 학술지를 창간했다.
3. 3. 도시에 대한 권리
르페브르는 사회적 생산 관계의 재생산에서 공간의 생산이 중요함을 이해하고자 자신의 철학적 저술 상당 부분을 할애했다. 이 아이디어는 ''자본주의의 생존''의 중심 주장이며, La Production de l'espace프랑스어 (1974) (''공간의 생산'')의 서문 격으로 쓰였다.[23]르페브르는 자연 공간('절대 공간')에서 의미가 사회적으로 생성되는 더 복잡한 공간과 흐름까지, 공간의 생산 방식(공간화)이 다양하다고 주장한다.[23] 그는 각 역사적 방식을 일상적인 실천과 인식(le perçu프랑스어), 공간에 대한 표상 또는 이론(le conçu프랑스어), 그리고 당시의 공간적 상상계(le vécu프랑스어) 사이의 3부작 변증법으로 분석한다.[24]
''공간의 생산''에서 르페브르는 공간이 사회적 산물이거나, 가치와 의미의 사회적 생산에 기반한 복잡한 사회적 구성물이며, 이는 공간적 실천과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그는 모든 사회, 그리고 모든 생산 방식은 특정 공간, 즉 자체 공간을 생산한다고 보았다.
르페브르의 개념은 마누엘 카스텔스 등에 의해 비판받기도 했다. ''자본주의의 생존''에는 카스텔스에 대한 반박이 제시되어 있으며, 앤디 메리필드[25]와 같은 학자들은 학계의 비판 수용이 르페브르가 ''공간의 생산''을 집필하게 된 동기가 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미할 무라프스키는 사회주의 국가들이 차별적인 공간을 생산한 방식을 보여줌으로써 르페브르가 실제로 존재하는 사회주의를 기각한 것을 비판한다.[26]
이후 르페브르는 도시계획(urbanisme)과 국토(territoire) 문제에 전념하며, 도시를 일상에 대한 미학적 반항의 중심으로 제시한다.
1970년 르페브르는 아나톨 콥(Anatole Kopp)과 함께 「공간과 사회」(Espaces et sociétés)라는 학술지를 창간했다.
4. 영향
4. 1. 프랑스 5월 혁명(68혁명)
4. 2. 대한민국에의 영향
5. 비판
6. 저작 목록
앙리 르페브르는 방대한 저작 목록을 남겼다. 다음은 주요 저작 목록이다.
- 1925년: "새로운 신비주의의 공격과 방어의 위치"(''Positions d'attaque et de défense du nouveau mysticisme'')를 ''Philosophies'' 5–6 (3월)에 발표했다. 471–506쪽. 이 글은 "의식의 철학"(''Philosophie de la conscience'') 프로젝트의 2부로, 레옹 브륀슈빅에게 제출하려던 DES 논문이었으나 포기했다.[27] [28][29] 르페브르의 1920년 DES 논문은 ''파스칼과 얀세니우스'' (''파스칼과 얀세니우스'')라는 제목이었다.[27] [28][29]
- 1934년: 노르베르트 구테르만과 함께 ''칼 마르크스 걸작선'' (''Morceaux choisis de Karl Marx'')을 파리 NRF에서 출판했다. (수차례 재판)
- 1936년: 노르베르트 구테르만과 함께 ''미혹된 의식'' (''La Conscience mystifiée'')을 파리 갈리마르에서 출판했다. (개정판 파리: 르 시코모르, 1979)
- 1937년: ''민족주의 대 국가들'' (''Le nationalisme contre les nations'')을 출판했다. (폴 니잔 서문), 파리: ''에디시옹 소시알 인터나시오날'' (재판, 파리: 메리디앙-클링크슬리크, 1988, "제도 분석" 컬렉션, M. 트레비치 소개, 앙리 르페브르 후기).
- 1938년: ''히틀러 집권, 독일 파시즘 5년의 결산'' (''Hitler au pouvoir, bilan de cinq années de fascisme en Allemagne'')을 파리 뷰로 데디시옹에서 출판했다.
- 1938년: 노르베르트 구테르만과 함께 ''헤겔 걸작선'' (''Morceaux choisis de Hegel'')을 파리 갈리마르에서 출판했다. (1938–1939년 3회 재판; 재판된 "이데아" 컬렉션, 2권 1969년).
- 1938년: 노르베르트 구테르만과 함께 ''헤겔 변증법에 관한 레닌의 수첩'' (''Cahiers de Lénine sur la dialectique de Hegel'')을 파리 갈리마르에서 출판했다.
- 1939년: ''니체'' (''Nietzsche'')를 파리 ''에디시옹 소시알 인터나시오날''에서 출판했다.
- 1940년: ''변증법적 유물론'' (''Le Matérialisme Dialectique'')을 파리 PUF에서 출판했다. 존 스터록 번역, ''변증법적 유물론'' (''Dialectical Materialism''), 조너선 케이프 유한회사
- 1942년: ''북쪽의 돈주앙'' (''Le Don Juan du Nord'')을 ''유럽 – 월간지'' '''28''', 1948년 4월, 73–104쪽에 발표했다.
- 1946년: ''실존주의'' (''L'Existentialisme'')를 파리 에디시옹 뒤 사지테르에서 출판했다.
- 1947년: ''형식 논리, 변증법적 논리'' (''Logique formelle, logique dialectique'')를 출판했다. ''변증법적 유물론의 빛 아래에서'' (''A la lumière du matérialisme dialectique'') 1권, 1940–41년 집필 (2권 검열됨). 파리: 에디시옹 소시알.
- 1947년: ''데카르트'' (''Descartes'')를 파리 에디시옹 이에 에 오주르뒤에서 출판했다.
- 1947년: ''일상생활 비판'' (''Critique de la vie quotidienne'')을 출판했다. 랄슈, 존 무어 번역, ''일상생활 비판 1권: 서론'' (''Critique of Everyday Life Volume 1: Introduction''), 런던: 베르소, 1991.
- 1948년: ''마르크시즘'' (''Le Marxisme'')을 파리 PUF에서 출판했다.
- 1950년: ''지식과 사회 비판, 프랑스와 미국에서의 철학적 사고'' (''Knowledge and Social Criticism, Philosophic Thought in France and the USA'')를 올바니 N.Y.: 뉴욕 주립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했다. 281–300쪽 (2판 1968).
- 1958년: ''마르크시즘의 현재 문제들'' (''Problèmes actuels du marxisme'')을 파리 프랑스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했다.; 4판, 1970, "철학 입문" 컬렉션
- 1958년: (뤼시앵 골드만, 클로드 로이, 트리스탕 차라와 함께) ''혁명적 낭만주의'' (''Le romantisme révolutionnaire'')를 파리 라 네프에서 출판했다.
- 1961년: ''일상생활 비판 II, 일상성 사회학의 기초'' (''Critique de la vie quotidienne II, Fondements d'une sociologie de la quotidienneté'')를 파리 랄슈에서 출판했다. 존 무어 번역, ''일상생활 비판 2권: 일상의 사회학을 위한 기초'' (''Critique of Everyday Life Volume II: Foundations for a Sociology of the Everyday''), 런던: 베르소, 2008.
- 1962년: ''근대성으로의 소개'' (''Introduction à la Modernité'')를 파리에서 출판했다. 존 무어 번역, ''근대성으로의 소개: 1959년 9월-1961년 5월 12개의 서곡'' (''Introduction to Modernity: Twelve Preludes September 1959-May 1961''), 런던: 베르소.
- 1963년: ''캄팡 계곡 - 농촌 사회학 연구'' (''La vallée de Campan - Etude de sociologie rurale'')를 파리 프랑스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했다.
- 1965년: ''메타철학'' (''Métaphilosophie'')을 출판했다. 장 왈 서문, 파리: 에디시옹 드 미뉘이, "주장" 컬렉션. 데이비드 펀바흐 번역 및 스튜어트 엘든 편집, ''메타철학'' (''Metaphilosophy''), 런던: 베르소, 2016
- 1965년: ''공산파 선언'' (''La Proclamation de la Commune'')을 파리 갈리마르, "프랑스를 만든 30일" 컬렉션에서 출판했다.
- 1966년: ''마르크스의 사회학'' (''La Sociologie de Marx'')을 파리 PUF에서 출판했다. 노르베르트 구테르만 번역, ''마르크스의 사회학'' (''Sociology of Marx''), 뉴욕: 판테온.
- 1968년: ''도시에 대한 권리'' (''Le Droit à la ville'')를 파리 안트로포스 (2판); 파리: 르 쇠유 출판사, "포앵" 컬렉션에서 출판했다. 영어 번역은 ''도시에 관한 글'' (''Writings on Cities''), 1996.
- 1968년: ''현대 세계의 일상생활'' (''La vie quotidienne dans le monde moderne'')을 파리 갈리마르, "이데아" 컬렉션에서 출판했다. 사샤 라비노비치 번역, ''현대 세계의 일상생활'' (''Everyday Life in the Modern World''). 앨런 레인 펭귄 프레스, 1971.
- 1968년: ''낭테르의 폭발, 정상 회담까지'' (''L'irruption de Nanterre au sommet'')를 파리 실렙스에서 출판했다. 2판 1998. 알프레드 에렌펠드 번역, ''폭발: 낭테르에서 정상 회담까지'' (''The Explosion: From Nanterre to the Summit''), 뉴욕: 먼슬리 리뷰 프레스.
- 1970년: ''도시 혁명'' (''La révolution urbaine'')을 파리 갈리마르, "이데아" 컬렉션에서 출판했다. 로버트 보노노 번역, ''도시 혁명'' (''The Urban Revolution''), 미네아폴리스: 미네소타 대학교 출판부, 2003.
- 1970년: ''농촌에서 도시로'' (''Du rural à l'urbain'')를 파리 안트로포스에서 출판했다. 전반부 로버트 보노노 번역, ''농촌에 관하여: 경제, 사회학, 지리학'' (''On the Rural: Economy, Sociology, Geography''), 스튜어트 엘든과 아담 데이비드 모튼 편집, 미네아폴리스: 미네소타 대학교 출판부.
- 1970년: ''역사의 종말'' (''La fin de l'histoire'')을 파리 미뉘이에서 출판했다.
- 1971년: ''차별주의 선언'' (''Le manifeste différentialiste'')을 파리 갈리마르, "이데아" 컬렉션에서 출판했다.
- 1971년: ''구조주의 너머'' (''Au-delà du structuralisme'')를 파리 안트로포스에서 출판했다.
- 1972년: ''마르크스주의 사상과 도시'' (''La pensée marxiste et la ville'')를 투르네이와 파리 카스테르만에서 출판했다. 로버트 보노노 번역, ''마르크스주의 사상과 도시'' (''Marxist Thought and the City''), 미네아폴리스: 미네소타 대학교 출판부.
- 1973년: 피에르 푸제이롤라스와 함께 ''코스타스 악셀로스의 게임'' (''Le jeu de Kostas Axelos'')을 파리 파타 모르가나에서 출판했다.
- 1973년: ''자본주의의 생존; 생산 관계의 재생산'' (''La survie du capitalisme; la re-production des rapports de production'')을 출판했다. 프랭크 브라이언트 부분 번역, ''자본주의의 생존'' (''The Survival of Capitalism''). 런던: 앨리슨 앤드 버스비, 1976. (프랑스어 책에는 원래 ''폭발'' (''The Explosion''), 1969년에 번역된 ''침입'' (''L'Irruption'')에 있던 자료가 포함됨.)
- 1974년: ''공간의 생산'' (''La production de l'espace'')을 파리 안트로포스에서 출판했다. 도널드 니콜슨-스미스 번역, ''공간의 생산'' (''The Production of Space''), 옥스퍼드: 블랙웰, 1991.
- 1974년: 레셰크 콜라코프스키와 함께 ''진화 또는 혁명'' (''Evolution or Revolution'')을 출판했다. F. 엘더스 편집, ''반사적 물: 인류의 기본적 관심사'' (''Reflexive Water: The Basic Concerns of Mankind''), 런던: 수베니어. 199–267쪽.
- 1975년: ''헤겔, 마르크스, 니체, 또는 그림자의 왕국'' (''Hegel, Marx, Nietzsche, ou le royaume des ombres'')을 파리 투르네이, 카스테르만에서 출판했다. "현대 종합" 컬렉션. 데이비드 펀바흐 번역, ''헤겔, 마르크스, 니체 또는 그림자의 왕국'' (''Hegel, Marx, Nietzsche or the Realm of Shadows''), 런던: 베르소, 2020.
- 1975년: ''오해의 시대: 클로드 글레이만과의 대담'' (''Le temps des méprises: Entretiens avec Claude Glayman'')을 파리 스톡에서 출판했다.
- 1978년: 카트린 레귤리에와 함께 ''혁명은 더 이상 예전 같지 않다'' (''La révolution n'est plus ce qu'elle était'')를 파리 에디시옹 리브르-알리에르에서 출판했다. (독일어 번역 뮌헨, 1979).
- 1976-78년: ''국가에 관하여'' (''De l'État'')를 파리 UGE, 4권, "10/18" 컬렉션에서 출판했다.
- 1980년: ''세계가 된 사상: 마르크스를 버려야 하는가?'' (''Une pensée devenue monde: Faut-il abandonner Marx?'')를 파리 파야르에서 출판했다.
- 1980년: ''현존과 부재'' (''La présence et l'absence'')를 파리 카스테르만에서 출판했다.
- 1981년: ''일상생활 비판, III. 근대성에서 모더니즘으로 (일상의 메타철학을 위하여)'' (''Critique de la vie quotidienne, III. De la modernité au modernisme (Pour une métaphilosophie du quotidien)'') 파리 랄슈에서 출판했다. 그레고리 엘리엇 번역, ''일상생활 비판 3권: 근대성에서 모더니즘으로 (일상의 메타철학을 향하여)'' (''Critique of Everyday Life Volume III: From Modernity to Modernism (Towards a Metaphilosophy of Daily Life)'', 런던: 베르소, 2008.
- 1985년: 카트린 레귤리에-르페브르와 함께, ''리듬 분석 프로젝트'' (''Le projet rythmanalytique'') 커뮤니케이션 41. 191–199쪽에 발표했다. ''리듬 분석'' (''Rhythmanalysis''), 2004에 포함됨.
- 1986년: 세르주 르노디에와 피에르 기요보와 함께, "신 베오그라드 도시 구조 개선을 위한 국제 경쟁", ''자치 관리, 또는 신 베오그라드의 앙리 르페브르'' (''Autogestion, or Henri Lefebvre in New Belgrade'')에 수록, 밴쿠버: 필립 에디션.
- 1988년: ''좌익 문화 정치를 향하여: 마르크스 사후 100주년을 기념하는 발언'' (''Toward a Leftist Cultural Politics: Remarks Occasioned by the Centenary of Marx's Death'')을 출판했다. D. 라이프만 번역, L.그로스버그와 C.넬슨 (편집), ''마르크시즘과 문화 해석'' (''Marxism and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 어바나: 일리노이 대학교 출판부; 뉴욕: 맥밀란. 75–88쪽.
- 1990년: ''시민 계약에 관하여'' (''Du Contrat de Citoyenneté'')를 파리 실렙스에서 출판했다.
- 1991년: 파트리샤 라투르와 프랑수아 콩브와 함께, ''앙리 르페브르와의 대화'' (''Conversation avec Henri Lefebvre'') P. 라투르와 F. 콩브 편집. 파리: 메시도르, "자유로운 제안" 컬렉션.
- 1992년: 카트린 레귤리에-르페브르와 함께 ''리듬 분석의 요소: 리듬 이해에 대한 소개'' (''Éléments de rythmanalyse: Introduction à la connaissance des rythmes'')를 출판했다. 레네 로로 서문, 파리: 실렙스 출판사, "탐험과 발견" 컬렉션. 영어 번역: ''리듬 분석: 공간, 시간 그리고 일상생활'' (''Rhythmanalysis: Space, time and everyday life''), 스튜어트 엘든, 제럴드 무어 번역. 컨티뉴엄, 뉴욕, 2004.
- 1996년: ''도시에 관한 글'' (''Writings on Cities'')을 출판했다. 엘레오노르 코프만과 엘리자베스 르바스 번역 및 편집, 옥스퍼드: 베이질 블랙웰. ''도시에 대한 권리''와 다른 에세이 포함.
- 2002년: ''과학 방법론: 미출판 작품'' (''Méthodologie des Sciences: Un inédit'')을 파리 안트로포스에서 출판했다.
- 2003년: ''주요 저작'' (''Key Writings'')을 출판했다. 스튜어트 엘든, 엘리자베스 르바스, 엘레오노르 코프만 편집. 런던/뉴욕: 컨티뉴엄.
- 2009년: ''국가, 공간, 세계: 선정된 에세이'' (''State, Space, World: Selected Essays'')를 출판했다. 닐 브레너, 스튜어트 엘든 편집. 제럴드 무어, 닐 브레너, 스튜어트 엘든 번역. 미네아폴리스: 미네소타 대학교 출판부.
- 2014년: [http://www.upress.umn.edu/book-division/books/toward-an-architecture-of-enjoyment ''즐거움의 건축을 향하여'']를 출판했다. L. 스타넥 편집, R. 보노노 번역 (미네아폴리스: 미네소타 대학교 출판부), 1973년에 쓰여진 책의 어떤 언어로든 최초 출판.
- 2022년: ''농촌에 관하여. 경제, 사회학, 지리학'' (''On the Rural. Economy, Sociology, Geography'')을 출판했다. 스튜어트 엘든, 아담 데이비드 모튼 편집, 로버트 보노노 번역 (미네아폴리스: 미네소타 대학교 출판부), 그의 책 ''농촌에서 도시로'' (''Du rural à l’urbain'') (1970)의 전반부와 보충 자료 포함
참조
[1]
서적
Schrift (2006)
[2]
서적
Sartre against Stalinism
Berghahn Books
[3]
서적
Lefebvre Love and Struggle
Routledge
[4]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5]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Critique of Everyday Life, Vol. 1
http://www.ihtp.cnrs[...]
2016-06-08
[6]
서적
Existential Marxism in Postwar France: From Sartre to Althuss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Lefebvre on the Situationists: An Interview
http://www.notbored.[...]
2016-05-17
[8]
웹사이트
Radical Philosophy obituary, Spring 1992
http://www.radicalph[...]
2003-06-26
[9]
서적
Evolution or Revolution
Souvenir
[10]
웹사이트
Préface de : Henri Lefebvre, Critique of Everyday Life. Volume III. (1981)
http://www.ihtp.cnrs[...]
2016-06-08
[11]
서적
May 68, Philosophy is in the Street!
Larousse
[12]
논문
Excavating Lefebvre: The right to the city and its urban politics of the inhabitant
http://faculty.washi[...]
[13]
웹사이트
"Right to the City" as a response to the crisis: "Convergence" or divergence of urban social movements?
http://www.reclaimin[...]
2012-03-10
[14]
웹사이트
Radical Philosophy obituary, 1991
http://www.radicalph[...]
2003-06-26
[15]
서적
The Origins of Modern Leftism
Penguin
[16]
뉴스
Radical Philosophy obituary
[17]
서적
The Critique of Everyday Life
Verso
[18]
서적
Rhythmanalysis
Continuum
[19]
웹사이트
Préface à : Henri Lefebvre, Critique of Everyday Life. Volume I. Introduction
http://www.ihtp.cnrs[...]
2016-06-08
[20]
서적
Elden 2004
[21]
서적
May 68 and its afterlives
University of Chicago
[22]
논문
An Informational Right to the City? Code, Content, Control, and the Urbanization of Information
2017-02
[23]
서적
Place, A Short Introduction
[24]
서적
Places on the Margin
Routledge
[25]
서적
Thinking Space
http://dx.doi.org/10[...]
Routledge
2002-09-11
[26]
논문
Actually-Existing Success: Economics, Aesthetics, and the Specificity of (Still-)Socialist Urbanism
https://www.cambridg[...]
2018-10
[27]
문서
DES stands for diplôme d'études supérieures
[28]
서적
Schrift (2006)
[29]
서적
Elden 2004
[30]
서적
バスクとバスク人
平凡社新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